객체 지향 설계 SOLID 원칙

두문자 약어 이름 개념
S SRP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을 가져야 한다.
O OCP 개방-폐쇄 원칙
Open-Closed Principle
소프트웨어 개체(클래스, 모듈 등)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수정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L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객체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상위클래스의 객체를 하위클래스의 객체로 바꿀 수 있어야한다.
I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보다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개가 더 낫다.
D DIP 의존관계 역전 원칙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SP 원칙이란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보다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Interface를 만들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자신이 이용하지 않는 메소드에 의존하지 않아야하는 원칙인데요. 큰 덩어리의 인터페이스들을 구체적이고 작은 단위들로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이 꼭 필요한 메소드들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의 예

 

 

1. ISP 위반 예제

public interface Phone {

    void call(String number);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void app();
    void camera();

}

public class IPhone15 implements Phone{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

    @Override
    public void app() {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스마트폰을 추상화했습니다. 스마트폰에는 많은 기능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아이폰을 구현한다면 모든 기능들을 오버라이드 하면 문제가 없어보입니다.

 

만약 버전이 올라가면서 기능이 추가되거나

이전 버전의 핸드폰을 추가할때 지원하지 않는 기능은 어떻게 될까요?

public class FolderPhone implements Phone{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

    @Override
    public void app() {
        throw new NotSupportedException();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public class IPhone20 implements Phone{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throw new NotSupportedException();
    }

    @Override
    public void app() {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이전 버전의 폴더폰은 app 기능이 없어서 예외를 던지고, 이후 버전이 올라가면서 더이상 message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후 기능들에서 모든 message는 예외를 던지게됩니다.

 

2. ISP 적용

public interface Phone {

    void call(String number);
}

public interface Message {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public interface App {

    void app();
}

public interface Camera {

    void camera();
}

 

각각의 기능별로 인터페이스를 분리했습니다.

 

 

public class FolderPhone implements Phone, Message, Camera{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public class IPhoneXR implements Phone, Message, App, Camera{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message(String number, String text) {

    }

    @Override
    public void app() {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public class IPhone20 implements Phone, App, Camera{

    @Override
    public void call(String number) {

    }

    @Override
    public void app() {

    }

    @Override
    public void camera() {

    }
}

 

작은 단위로 인터페이스가 분리되어 지원되는 기능만을 구현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 Recent posts